재테크/부동산

아파트 부동산 시장이 꽁꽁 얼어붙다.

경자의하루 2022. 10. 23. 21:4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후입니다.

 

물가 폭등(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고강도 긴축으로 금리 인상이 계속되면서,

 

아파트 부동산 시장이 완전히 얼어붙었습니다.

 

거래 건수가 급감했는데,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2022년 1월~9월 기간 동안 서울 부동산 거래는 9,832건으로

 

거래 활황기였던 2020년의 1월~9월 기간의 6,3009건 대비 15.6% 수준 밖에 되질 않습니다.

 

그마저도 기존 고점 대비 수억 원 하락한 급매만이 거래되고 있죠.

 

가격 하락 거래는 사연이 있다고(가족 간 거래, 증여, 긴급한 잔금 처리 등) 하지만,

 

냉정히 말하자면 그 거래들이 현재 시세입니다. 

 

그래서 많은 아파트 소유주들이 가격 급락으로 불안해하고 있을 겁니다. (일 주택자도 물론이고요)

 

하락기에 상급지 이사가 좋아서 판교 이사를 실천한 저도 솔직히 걱정되긴 합니다.

 

https://finfree.tistory.com/84

 

자산 시장이 하락하고 있음에도 판교 이사를 결심한 이유

안녕하세요 경후입니다. 판교 아파트 계약하기 전부터 아파트 거래 시장이 위축되고, 자산 시장이 흔들리는 걸 느끼고 있었습니다. 2019년 말(아파트 매수 시장 활황기 도래 직전) 부동산에 갔을

finfree.tistory.com

 

이러한 얼어붙은 부동산 거래 침체의 가장 큰 원인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급격한 금리 인상이 아닐까 합니다.

 

대출 금리가 7%가 넘어가면서 대출에 대한 부담이 엄청나게 커져버렸죠.

 

https://www.yna.co.kr/view/AKR20221029045800002?input=1195m 

 

주담대·전세·신용대출 7% 넘었다…13년만에 대출금리 7%시대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박대한 민선희 기자 = 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 등 종류에 상관없이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최고 금리가 모두 7%를 넘어서면...

www.yna.co.kr

 

돈 많은 사람들이 대출 금리 높아졌다고 그걸 못버티겠나?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나는 월 100만 원의 이자를 감당 가능한데, 저금리 2% 시대에는 6억 원이라는 자금을 조달 가능하지만, 

 

고금리 7% 시대에는 약 1억 7천만 원으로 자금 유동성이 확 떨어지기 때문이죠.

 

이미 6억 원이라는 대출이 있는 상태라면, 감당 가능한 이자까지 낮추기 위해서는 약 4억 3천만 원을 갚아야 합니다.

 

유동성도 떨어지는데, 여기저기 돈도 갚아야 하는 데다, 고금리로 사람들이 대출을 받아 집 사기를 꺼려 하니

 

수억 원 낮춘 급매물로 팔 수밖에 없는 겁니다.

 

물론 위 사례는 단순 계산에다가, 극단적인 상황으로 예를 든거지만, 이런 흐름으로  가고 있을 겁니다.

 

다만, 금리 인상으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어서 고금리 상태로 계속 유지하기가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대출은 일반 서민들뿐만 아니라, 기업들도 받기 때문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결국에 경기 침체로 이어지면서 경제 성장률 둔화가 발생하기 때문이죠.

 

(하기 씨티에서 예측한 금리 인하 시나리오 뉴스 참고)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659686632495872&mediaCodeNo=257&OutLnkChk=Y 

 

씨티 "내년 韓 경제성장률 1%에 그칠 것…내년 7월부터 금리 인하"

씨티는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1%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이러한 전망에는 불확실성이 커 상방과 하방 시나리오로 나눠 전망했다. 김진욱 씨티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보고서

www.edaily.co.kr

하지만 위 시나리오도 예측치입니다.

 

금리를 얼마큼 더 올릴지, 고 금리가 얼마의 기간 동안 길게 유지될지 정확히 맞출 수 없습니다.

 

그래도 유주택자인 저의 입장에서는

 

이자와 자금 유동성을 감당 가능하다면, 금리와 환율 등 경제 상황을 더 지켜보는 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하락장에 상급지로 이사하신 분들은 집값 하락에 마음이 쓰라릴 수는 있지만, 

 

실거주 만족도로 상쇄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판교에서의 생활이 너무 만족스러워서 경제 상황을 천천히 살펴보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초반에 썼던 아파트는 상급지로 가라.라는 링크를 전달드리며 물러가겠습니다.

 

https://finfree.tistory.com/71?category=543120 

 

아파트는 상급지로 가라.

안녕하세요 경후입니다. 아파트의 인프라가 중요한 건 알겠습니다. 그럼 인프라가 가지고 있는 가치 판단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겠죠.  인프라라고 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1. 교

finfre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