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달러투자 키움증권 장/단점 (환전 수수료 계산하기)

경자의하루 2024. 2. 29. 23:43
반응형

 

나는 박성현 저자의 달러투자 책(달러투자 무작정 따라 하기)을 접하면서 작년 12월부터 달러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내 경험을 통해 달러투자를 처음 시작하는 분이라면 키움증권을 추천하고 싶다. 

그리고 달러투자가 익숙해지면, 환전 플랫폼을 증권회사 하나만 두지 않고 은행 포함 여러 개로 넓히라고 하고 싶다.

 

그렇다면 달러투자의 첫 시작으로 왜 키움증권을 추천하는지?

직접 경험해 본 장/단점에 대해 얘기해 보려고 한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키움증권의 환전 수수료가 싸다!

그리고 이미 주식투자에 키움증권을 이용하고 있다면 어플이 익숙해서 매우 편하다.

 

환전수수료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먼저 환전 수수료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환전수수료 계산해 보기

환전 수수료에 대해 계산하려면 환율 스프레드 환전 우대율 두 가지 개념에 대해 알아야 한다.

 

환율 스프레드란?

말 그대로 환전할 때 내는 수수료이다.

예를 들어 기준 환율이 1달러당 1000원이고 환전 스프레드가 1%라면 환전 수수료는 1000원의 1% 인 10원이 된다.

그러면 살 때의 환율은 1010원, 팔 때의 환율은 990원이 되는 것.

 

환전 우대율이란?

환율 스프레드의 할인율을 말한다. 

위의 예에서 환전 우대율을 95%를 해준다면 내야 할 수수료의 95%를 할인해 준다는 뜻이다.

그러면 우리가 환전할 때 내야 하는 최종 수수료는 환율 스프레드의 5%만 되면 되는 것이다.

 

환전 수수료 계산 방법은?

원달러 환율이 1000원, 환율 스프레드가 1% 이고 환전 우대율이 95% 라면,

실제 환전 수수료는 환율 스프레드(1%)의  5%(100-환전 우대율)만 내면 되므로 0.05% 인 0.5원이 된다.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환전 수수료 = 원달러환율 X 환율 스프레드 (%) X (100-환전 우대율%)
                   = 1000  X 1% X 5% = 0.5 원

그래서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키움증권으로 달러투자 시 장/단점은?

달러투자 시, 키움증권의 장점

키움증권의 가장 큰 장점은 환전하는데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것이다.

나는 달러투자에서 달러당 5원의 환차익이 생기면 사고팔기 때문에 환전수수료가 굉장히 중요했다.

 

환전수수료가 저렴한가 보려면 우대율보다 먼저 환율 스프레드가 저렴한지 봐야 한다.

대부분의 은행사는 환율 스프레드가 1.75% 이고 증권사는 1% 정도이다.

 

키움증권의 경우 환율 스프레드가 1%, 그리고 환전 우대율을 이벤트로 95% 까지 매번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환전 수수료는 원달러환율의 0.05% 만 부담하면 돼서 굉장히 저렴하다.

 

 

달러투자 시, 키움증권의 단점

가장 큰 단점은 거래시간이 짧다는 점이었다.

이것 때문에 달러투자가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다른 환전 플랫폼도 뚫어놔야 한다.

 

키움증권의 환전 가능 시간은 영업시간인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이다. 이 시간 이외(거래 외 시간)에는 가환율로 환전이 되고 영업시간이 되었을 때 재환산 되는 시스템이라 달러투자에 적합하지 않았다.

환율의 등락은 계속되어 거래 외 시간에서 수익 볼 수 있는 구간을 여러 번 지나다 보니 거래시간이 길면서 환전 수수료는 저렴한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래서 하나은행 FX마켓이라는 플랫폼을 가입하고 이용 중이다. 이 부분은 다음 글로 이어서...)

 

키움증권으로 환전하는 방법

나는 국내주식과 해외주식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영웅문 S# 어플을 이용 중이다.

아래 블로그에 해당 어플을 이용한 환전 방법이 나와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셨으면 좋겠다 :)

 

 

키움증권 영웅문S# 외화 환전하는 법 / 한화를 달러로 환전 하는 방법

요즘 달러가 계속 오르다 잠시 주춤하고 있는데요 미국 주식을 거래하거나 미국 달러를 갖고 있고 싶을 때 해외주식계좌가 있으면 환전해서 달러를 보관하거나 주식을 보관하고 있을 수 있어요

kongmks.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