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주식

2020년 경자의 첫 주식투자 연말 수익보고서 (수익률 36 %)

경자의하루 2020. 12. 30. 15:53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자입니다.

 

벌써 2020년 한 해의 끝이 다가오고 있네요.!!

2020년은 저에게 다양한 시도를 했던 해라서 더 의미 있는 한 해입니다.

 

올 해초 제 명의로 집을 구매하고, 주식투자를 시작하고, 블로그 활동도 하면서 다양한 시도를 한 만큼 생에 처음 월급 이외의 자본 소득을 얻는 경험을 했고, 제 목표인 경제적 자유에 한 발짝 내딛게 된 2020년입니다.

 

연말을 맞아 한 해의 투자를 되짚어 보려고 합니다. 저의 투자 복기로 주관적인 경험이 많이 담긴 글이지만,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께 인사이트를 가져다 드리길 바랍니다.

 

 

 

목차

1. 경자의 2020 한 해 주식 투자금수익률은 얼마?

2. 2020년 실현 손익과 받은 배당금은 얼마?

3. 올해의 베스트 주식

4. 올해의 워스트 주식

5. 2020년 투자하면서 얻은 교훈, 수익을 올릴 수 있었던 방법

5. 2021년의 주식 투자 목표는? 

 

1. 경자의 2020 한 해 주식 투자금 수익률은 얼마?

 

올해 국내 주식에 투자한 금액은 13,357,800원, 미국 주식에 투자한 금액은 61,027,100원입니다.

총투자금은 약 7400 만원입니다. 

 

아래 자산현황을 보시면 (20. 12. 30 기준) 국내, 해외주식, 예수금을 합한 총자산은 101,280,505 원입니다.

예수금은 수익 실현을 하여 남은 돈 중 다시 재투자하지 않고 현금으로 들고 있는 돈입니다.

정리하면, 7400만 원의 투자를 하여 1억 1백만 원으로 불린 것이지요.

따라서, 올해 수익률은 약 36%입니다.

경자의 20.12.30 자산현황

코로나 19로 인해 주식 폭락장에서 투자를 시작하여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었습니다. 매번 이런 수익률을 가져오기 어려울 수 있지만 제가 올해 투자를 하면서 느낀 점은 돈을 벌려면 '실행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집을 살 때에도, 주식을 시작할 때에도 많은 사람들이 '곧 집값이 떨어질 거야, 주식시장이 너무 불안해서 이럴 때 투자하면 망한다'라는 얘기를 했습니다. 이런 얘기들을 듣고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면 지금쯤 아무런 변화가 없었겠죠. 자기가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작게 여러 번 시도하면서 시행착오를 겪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돈이 벌린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2. 2020년 실현 손익과 받은 배당금은 얼마?

2020년도 실현 수익금은 국내와 미국 주식 합쳐 714만 원입니다. 

(주식을 사고팔아 시세차익으로 번 돈이 714만 원)

국내와 미국주식 실현수익금

어떤 주식을 사고팔아 이익을 냈는지 표로 정리했습니다. 모든 주식이 다 이익이 난 것은 아니니 저처럼 주식을 사고팔 때 표로 정리하여 복기하면 좋은 참고자료가 됩니다. 자료를 정리할 때 저는 수미숨님의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한 포트폴리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아래 수미숨님의 블로그에서 다운로드하여 자산상황을 정리해보세요.)

 

[수미 숨 TV]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주식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노하우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수미숨TV]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주식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노하우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고 계신지요!​과감한 시설 투자를 통해 컴퓨터도 새로 장만했고 이제 제대로 영...

blog.naver.com

 

1) 국내 주식 실현손익 (457만 원)

네이버, 카카오의 경우 6월에 정말 많이 올랐을 때 수익실현을 한번 했습니다. 두 종목 모두 현재 더 많이 올랐고 특히 카카오의 경우 현재 가격이 38만 원 정도 돼서 너무 일찍 팔았다는 생각도 했었지만 이 돈으로 미국 주식에 재투자하여 또 다른 수익을 얻었기 때문에 크게 후회하진 않습니다.

 

대한전선은 제가 데이 트레이딩을 시도했을 때 샀다가 어느 정도 수익이 났을 때 판 종목입니다. 차트를 공부하여 단기투자를 하면서 수익을 내려고 했지만 저의 성향과 맞지 않아서 단타는 몇 주정도 시도하고 끝냈습니다. 12/28일에 포트폴리오 정리 목적으로 종목들을 매도하였는데, SK하이닉스의 경우 또 다른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에 많이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중복되는 분야라서 매도하였습니다.

TIGER 미국 S&P500 선물의 경우도 현재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제 아픈 손가락들... KODEX 인버스빅히트입니다. KODEX 인버스의 경우 주가가 하락하면 반대로 수익을 내는 주식인데 코로나로 인해 다시 주가가 하락세 일 때 수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해서 구매했던 종목입니다. 하지만 제가 매수한 이후로 계속 주가가 오르면서 인버스는 계속 하향세였죠. 빨리 팔았으면 더 좋았을 텐데 지금까지 못 팔았다가 이제야 정리했습니다. 주식의 목적과 손절선을 제대로 정하지 않아 이런 사태가 발생한 거죠.

 

빅히트의 경우 그 주식의 가치와 가격을 생각해보지 않고 새로 상장하면 가격이 오른다는 생각에 (SK바이오팜과 카카오 게임즈의 인기가 대단했죠) 대책 없이 구매한 경우입니다. 불행 중 다행인 건 매수 수량이 그리 많지 않았다는 것이죠. 주식 투자가 처음이고 불확실한 상황이기 때문에 항상 분할매수로 들어갔었고, 계속 주가가 떨어지는 주식은 더 이상 사지 않고 더 오르는 주식은 계속 사모으는 형태로 투자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2) 미국 주식 실현손익 (257만 원)

미국 주식의 경우 연간 250만 원까지는 세금이 공제되고 그 이후부터 22%의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공제되는 만큼의 수익 실현을 하기 위해 수익이 많이 난 테슬라와 함께 마이너스 수익률을 낸 모든 종목을 팔았습니다. (매도 종목 중 엔비디아와 테슬라는 매도 후 재구매)

 

미국 주식의 세금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2020/11/04 - [주식/해외주식] - 미국 주식, 세금은 어떻게 될까요? (올해가 가기 전 수익 실현 하세요)

 

미국 주식, 세금은 어떻게 될까요? (올해가 가기 전 수익 실현 하세요)

안녕하세요. 해외 주식 특히 미국 주식으로 어느 정도 수익을 본 경우 세금에 대해서 많이 궁금하실 텐데요. 미국 주식 세금은 어떻게 계산하는 지, 경자 베프와의 대화를 통해 알아볼까요? 경

finfree.tistory.com

니콜라의 경우 제2의 테슬라라는 유튜브 영상을 보고 소량 구매하였는데 주가가 굉장히 떨어졌습니다. 많은 분들이 올해 니콜라로 손해를 보셨을 것 같습니다. 잘 모르는 주식의 경우 처음부터 많이 사지 말고,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 손절 가격을 정해 손절을 해야 한다는 원칙을 만들어준 주식입니다.

S&P 글로벌, AT&T, 엑슨 모빌의 경우 배당금을 받기 위해 투자하였으나 받는 배당금보다 주가의 손실이 더 커서 결국 손절하게 되었습니다. 배당을 받으면서 주가까지 같이 오르는 종목에 투자하길 원하기 때문이죠. 엔비디아의 경우 그래픽뿐만 아니라 GPGPU를 이용한 AI, 클라우드, 자율주행 산업 전망이 좋을 것으로 예상하고, 테슬라도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으로 유망한 기업이라고 예상하여 매도 후 같은 수량을 재구매하였습니다. (미국 주식을 매도하면 달러로 돈을 받게 되는데, 현재 환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한번에 다 환전하지 않고 국내 주식에 투자할 때 필요한 만큼만 환전하고 있습니다.) 

 

3) 올해 받은 배당금은 얼마?

올해 실수령 배당금은 총 403,234 원입니다.

국내 주식으로 73,750원, 미국 주식으로 329,484 원 받았습니다.

 

자세한 내역을 살펴보겠습니다. 

S&P 글로벌, AT&T, 엑슨모빌 경우 받은 배당금에 비해 주가가 더 크게 하락하여 12월 중순에 손절하였습니다.

삼성전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코카콜라, 애브비, 리얼티인컴의 경우 배당금도 받으면서 주가도 모두 상승하였습니다.

※ 12/30일 기준 수익률: 삼성전자 (53%), 애플(55%), 마이크로소프트 (23%), 코카콜라 (20%), 애브비 (11%), 리얼티인컴 (1.2%)

저의 배당주 투자 목적은 배당 수익을 꾸준하게 얻으면서 주가도 상승하는 종목을 찾는 것으로 앞으로도 이러한 종목들을 꾸준히 찾으면서 사모을 예정입니다.

손절한 종목을 제외하고 현재 가지고 있는 종목으로 내년에 받을 수 있는 예상 배당금은 637,645 원이며 추가로 배당종목들을 매수하여 연간 120만 원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내년의 목표입니다.

 

  

3. 올해의 베스트 주식

1) 경자's 수익률 베스트 종목 Top 10

SK바이오팜의 경우 공모주 청약을 처음 시도해서 2주 받았는데, 수량이 적어 얻은 수익은 크지 않지만 올해의 최고 수익률입니다. (49,000원에 청약받아 현재 가격이 169,000원.) 이번에 IPO(기업공개) 시장이 핫했는데 모든 주식이 공모 가격 대비 가치가 이렇게 크게 오르지는 않습니다. 빅히트의 경우 처음 공모가 135,000원 현재 가격 160,000원으로 18.5% 상승했으나 바이오팜 대비 큰 상승은 아니죠. 공모 가격부터 높았기 때문입니다. 빅히트 주식이 상장되는 첫날 상한가가 351,000까지 수직 상승했다가 하락했고 그 과정에서 물린 분들이 많았습니다. (저도 34만 원에 1주 매수했었습니다.) 결국, 그 주식의 적정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테슬라와 2차 전지 테마는 전기차 시장이 뜨거워지면서 많은 수익률을 가져다주었습니다. 애플은 투자 시작 당시만 하더라도 마이크로 소프트와 시가총액 순위가 엎치락뒤치락하였는데(미국 시총 1, 2위) 올해 사우디 아람코를 꺾고 세계 시가 총액 1위에 올라섰습니다.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에서도 강자이지만 자율주행차 산업도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과 함께 애플 vs 테슬라 구도도 형성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우,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경우 3분기 반도체 수출이 증가하며 주가도 함께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고, 삼성전자의 경우 특별배당 이슈와 함께 더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 언택트 대장주로서 네이버, 카카오 모두 크게 상승하였으나 특히 카카오의 주가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매출액이 네이버가 더 높지만 카카오가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이유는 매출액 성장률이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 네이버와 카카오 주가 모두 엄청나게 상승하여 가격 부담이 있지만 두 기업 모두 대표적인 IT 성장기업으로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보기에 주가가 조정되는 시점을 체크하고 분할 매수하여 모아 나갈 예정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비교분석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네이버 vs 카카오 (주가 및 밸류에이션 비교) (tistory.com)

 

네이버 vs 카카오 (주가 및 밸류에이션 비교)

NAVER(035420) / 카카오(035720) 사업영역을 제외한 재무제표의 수치들을 기준으로 한 NAVER와 카카오에 대한 비교 내용입니다. 최근 언텍트 모멘텀으로 두 종목 모두 주가 상승을 지속하고 있고 5년 기

basicidea.tistory.com

아마존1주당 현 가격이  363만 원 정도로 부담스럽지만 쇼핑뿐만 아니라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사업의 강자라서 아주 매력 있게 보고 있는 회사이므로 장기투자로 소량씩 모을 예정입니다. 

 

2) 경자가 뽑은 베스트 종목 

삼성전자,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테슬라

삼성전자의 경우 코스피 시가총액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가졌고, 10년 넘게 주가가 꾸준히 우상향 했으며, 제가 분할 매수할 당시 1주당 배당률이 3% 정도로 아주 매력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삼성전자, 삼성전자 우 주식을 분할 매수하여 꾸준히 모으고 있었는데 11월부터 기대치 이상으로 주가가 큰 폭 상승하면서 큰 수익률과 배당금까지 받은 효자 종목입니다. 지금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다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 현 시가 대비 배당률이 2% 정도로 아직도 배당률이 높은 편이고 주가 상승률도 꾸준할 것이라고 예상되어 반도체 시장과 스마트폰 시장에서 큰 이변이 없는 한 앞으로도 꾸준히 분할 매수할 최애 종목입니다. :)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배당금도 주면서 주가도 상승 중인 종목입니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현재 시가 대비 배당률이 0.6%, 0.9% 정도로 높진 않지만 주가가 계속 우상향 하면서 배당금도 꾸준히 나오는 기업이기 때문에 베스트 종목으로 선정했습니다. 

 

테슬라의 경우 배당은 지급하지 않지만 올해 수익률이 어마어마했죠. 액면 분할하기 전 2주를 매수했었는데 제가 매수할 당시에도 그 가격이 거품이라는 말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로도 주가가 계속 고공 행진했습니다. 테슬라가 전기차 분야에서 계속 선두주자로 입지를 굳혀나갈지 앞으로도 계속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3) 반전 종목 

델타에어라인스

델타항공은 미국 1등 항공사로 코로나로 인해 주가가 많이 떨어진 상태에서 앞으로 코로나가 괜찮아지면 다시 상승할 종목으로 예상하고 소량 매수하였었는데 연중 내내 -20% 정도의 수익률을 보였다가 최근 16% 까지 수익률이 상승했습니다. 코로나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변수가 있을 종목인데 주가가 갑자기 급상승하여 의외의 수익률을 가져다준 종목입니다. 전 세계가 바이러스에 고통받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의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는데, 앞으로도 주가의 변동에 대해 추이를 살펴보아야겠습니다.

 

 

4. 올해의 워스트 주식

1) 경자's 워스트 주식 Top 5

올해 저에게 손실을 크게 안겨준 Top 5 종목입니다. 

니콜라는 수소차 회사로 제2의 테슬라라는 평가를 받으며 초반 주가가 상승하였지만 니콜라의 기술력이 허위였다는 논란이 일면서 순식간에 주가가 떨어진 이후 회복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짜 뉴스나 기대감 대신 그 기업의 실제와 미래 가치를 잘 평가할 수 있는 실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빅히트와 KODEX 인버스도 마찬가지로 막연한 기대감, 적정 가격에 대한 생각 없이 주식을 매수하여 생긴 손실입니다. 엑슨모빌과 AT&T의 경우 현재 시가 배당률이 8.43%, 7.29%로 매우 높은 편에 속하고 제가 매수할 당시에도 높은 주식 들이라서 매수하였는데, 받는 배당 대비 주가 하락폭이 더 커서 연말에 손절하게 되었습니다. 손실률이 어마어마하지만 분할 매수를 하며 처음부터 수량을 많이 사지 않았고 하락을 보고 매수를 멈춘 덕분에 손실 액수는 크지 않았던 것이 큰 다행이었습니다. 

 

5. 2020년 투자하면서 얻은 교훈, 수익을 올릴 수 있었던 방법

1) 첫 주식 투자를 하면서 배운 점, 느낀 점

개인적으로 실제 주식투자를 하면서 경제 돌아가는 것에 대해 큰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미래 변화를 얼마나 빨리 catch 하고 얼마나 빨리 먼저 움직이느냐에 따라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잡거나, 놓치게 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전엔 '주식=투기 또는 도박'으로 생각했었고, '주식을 하면 집안이 망한다'라고 생각할 정도로 선입견이 있었는데 (IMF 시기에 주식으로 인해 망한 사람이 많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실제 경험해보니 현명한 투자는 기업을 살리고 개인의 경제력에도 좋은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막연한 선입견이나 두려움을 가지지 않고, 실제 시도하고 경험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특히, 40~50대에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 자본소득은 필수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2) 수익을 올릴 수 있었던 방법

Tip 1. 분산투자: 하나의 종목에 베팅하듯 투자하지 않고 여러 분야에 투자

Tip 2. 가치 투자라는 종목 선택의 기준: 미래 유망산업 기준으로 매수.

예) 기술주, 전기차, 반도체  

Tip 3. 분할매수: 한 번에 대량 구매하지 않고 분할 매수 → 손실은 최소화, 수익은 극대화

 

5. 2021년의 주식 투자 목표는? 

1) 현재 투자금 1억에서 20%의 수익률 달성, 1억 2천만 원의 자본금 만들기

2) 월 300만 원씩 국내 주식에 투자, 수익률 15% 달성, 4140만 원 자본금 만들기

: 2021년 내 총 자본금 1억 6140만 원

3) 21년 목표 배당금 120만 원 만들기 (월 10만 원의 배당소득!)

4) 주식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안목 기르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기

 

 

저는 2020 첫 주식 투자를 이렇게 정리해 보았는데, 어떠셨나요? 올 한 해 주식 투자를 이와 같이 정리해보면서 다시 복기해보고, 내년의 투자 목표를 세워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좋은 연말 보내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