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기사
'승부수' 띄운 삼성 이재용…'사상 최대' 53조 쏟아붓는다
삼성전자가 내년 첨단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능력을 올해보다 2.5배 늘린다. 경기 평택캠퍼스와 미국 테일러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설비도 고도화한다. 올해 시설투자에만 역대
n.news.naver.com
핵심내용 구조화
★ What?
삼성전자가 AI용 반도체(HBM) 생산을 올해보다 2.5배 늘린다.
이를 위해 연간 역대 최대인 53조 7000억 원을 투자한다.
★ Why?
반도체 재고가 5월에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하고 있으며, 영업 손실도 감소하고 있고 메모리 업황이 2024년까지 회복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수요가 폭증하는 HBM 생산 능력을 2.5배 확대하기로 하였다.
★ How?
삼성전자는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역대 최대 시설 투자를 이어간다.
용어 정리
☆ HBM (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 메모리)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만든 제품으로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훨씬 높다.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와 함께 작동하여 서버의 학습 및 연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AI로 GPU (그래픽 처리장치)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HBM 시장도 커지고 있다.
질문
★ 반도체 사업이 계속 적자인데 HBM이 미치는 영향은 어땠나?
HBM의 시장점유율은 SK하이닉스-삼성전자-마이크론 순으로 각각 50%, 40%, 10%로 추정된다.
HBM 점유율이 높을수록 D램 사업 회복 속도가 빠른 것으로 보인다.
HBM이 범용 D램 대비 판가가 6~7배 높기 때문이다.
HBM 비중이 가장 높은 SK하이닉스는 D램 사업 2분기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경쟁사와 격차를 보였다.
출처: 뉴데일리 경제, 10.31 글로벌 D램 3사 실적 살펴보니… 'HBM' 따라 희비 엇갈려
글로벌 D램 3사 실적 살펴보니… 'HBM' 따라 희비 엇갈려
지난 3분기 길었던 메모리 반도체 업황 바닥을 확인하며 속속 반등을 시작한 D램 기업들이 특히 고대역폭메모리(HBM)로 실적에 희비가 엇갈렸다. HBM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SK하이닉스를 시작으
biz.newdaily.co.kr
투자에 적용할 점
★ HBM 관련주?
대장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요장비 공급업체: 한미반도체, 이오테크닉스, 윈팩,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엠케이전자, 마이크로프랜드, 자비스
- 한미반도체: 반도체 후공정 전문 장비 업체. D램 다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본딩 장비를 제조.
- 이오테크닉스: 반도체 레이저마크, 레이저 응용기기 제조. HBM 생산에 필수적인 열압착 본딩장비를 SK하이닉스와 공동 개발
- 윈팩: 반도체 패키징 킻 테스트 사업. SK하이닉스 D램 테스트의 50% 이상을 윈팩이 담당.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인공지능 기술을 엣지 환경에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 반도체 설계 IP 기술 개발. 정부과제인 '고성능 AI 서버용 HBM3 급 이상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수행
- 엠케이전자: 반도체 패키징 소재인 본딩 와이어 등을 생산. HBM 수요 증가에 따라 공급 중인 소재의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예측됨.
- 마이크로프랜드: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공정에 사용되는 프로브 카드 제조 업체. HBM용 프로프 카드 개발 진행.
- 자비스: 반도체 패키지 검사용 고해상도 엑스레이 검사 장비 개발. HBM에 사용되는 TSV 결함은 광학식 카메라 검사가 불가능하여 자비스의 검사장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
'지식 쌓기 > 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 스크랩] 11.22 "집값 내려도 세금 올라"…공시가 '모순' 잡는다 (0) | 2023.11.22 |
---|---|
[경제신문 스크랩] 11.3 美 Fed, 기준금리 2회 연속 동결 (0) | 2023.11.03 |
[경제신문 스크랩] 10.30 "길고 어려운 전쟁" 가자 지상전 돌입…3차 오일쇼크 오나 (0) | 2023.10.30 |
[경제신문 스크랩] 10.26 가계빚 목까지 차올라 DSR, 주요국의 2배로 (0) | 2023.10.26 |
[경제신문 스크랩] 10.25 "침체 조짐"…美국채 年 4.8%로 급락 (0) | 2023.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