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쌓기/경제신문

[경제신문 스크랩] 10.25 "침체 조짐"…美국채 年 4.8%로 급락

경자의하루 2023. 10. 25. 10:13
반응형

오늘의 기사

 

"침체 조짐"…美국채 年 4.8%로 급락

긴축 장기화 우려 등으로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세로 방향을 틀 것이라는 관측이 월가에서 나오기 시작했다. 미국 경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할 것이라

n.news.naver.com

핵심내용 구조화

★ What?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할 거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4.8%대로 하락했다

★ Why?

미국의 투자 대가 빌 애크먼과 빌 그로스 모두 국채금리 하락을 예상했다.

국채를 공매도 했던 빌 애크먼도 국채 공매도를 청산한다고 밝혔고,

빌 그로스는 역대 최고 수준의 자동차 대출 연체율과 지방은행 파산 등을 근거로 미국 경제가 둔화되고 있으며 4분기 경기 침체를 예상했다.

두 투자 거물들이 금리 하락을 예상하자 5% 넘었던 국채 10년물이 4.8%대로 하락하였다.

★ How?

그러나, 미국의 경제에 대해 '침체가 올 것이다 vs 여전히 강하다' 두 가지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미국 경기가 여전히 강하다는 주장은 아직까지 강력한 고용지표와 소비를 근거로 하며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미국의 실질 GDP 증가율 추정치를 3.7%에서 4%로 상향 조정했다.

용어 정리

☆ 공매도

주식이나 채권등의 자산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빌려서 판 후, 가격이 내려가면 다시 사서 반납하는 투자 방식

애크먼은 국채 금리가 상승하여 국채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 예상하고, 국채 공매도를 하고 있었으나

경제 둔화를 예측하며 공매도 투자를 청산한다고 밝힘

질문

★  미국 국채 금리와 우리나라 환율의 관계는?

미국 국채금리와 기준금리는 같은 방향성을 가짐 (기준금리가 오르면 국채 금리도 오름)

미국의 기준 금리가 오를 것이라고 예상되면 시장 참여자들이 선제적으로 채권을 팔기 때문에 공급이 많아지면서

국채 가격은 떨어지고 국채 금리는 오르는 것 (국채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임)

 

그렇다면 미국 기준금리와 우리나라 환율은 어떤 관계일까?

미국이 기준금리를 내리면 원달러 환율은 대체적으로 하락함.

우리나라 금리가 높고 미국의 금리가 더 낮을 때 달러를 원화로 바꿔 예금하는 것이 이익이 되기 때문. 원화의 수요가 증가하여 원화강세 현상이 일어나면서 환율은 하락.

 

반면,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반대로 원화를 달러로 바꿔 미국에서 예금하는 것이 이익이 되므로 달러 수요가 늘면서 환율이 상승하게 된다.

 

 

투자에 적용할 점

★ 미국 국채금리 상승/하락이 나에게 미치는 영향은?

미국의 국채 금리가 오르면 우리나라 시장금리도 따라 오르고 주가는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렇게 움직이는 것은 아니고 예외적인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미국 국채금리의 상승/하락을 지켜보며 나의 대출 이자와 주식 투자에 대해 예측해 볼 수 있는 시각을 키울 필요가 있다. 

반응형